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슈

라면 발암물질 관련, 중국 언론매체의 물어뜯기 공격

728x90
반응형
SMALL

 

농심의 수출용 라면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된 사실이 최근에 밝혀졌는데,

이를 이용해, 중국 언론이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15일 중국 신문방(新闻坊) 등은 지난 13일 한국에서 나온 농심 라면의 발암물질 관련 기사를 인용하며 '발암물질 기준치 최대 148배 초과, 유명 한국 라면 업체가 사고를 쳤다'는 제목 등으로 전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조사 결과 독일로 수출된 라면 '농심 수출 모듬해물탕면'과 '팔도 라볶이 미주용'에서 '2-클로로에탄올'이 검출됐다는 내용이다. 이 성분은 발암물질인 에틸렌옥사이드의 대사 산물로, 피부에 흡수될 경우 독성 증상이 나타나지만 발암성은 없는 물질로 분류된다.



중국 매체는 유럽연합의 조사 내용과 해당 라면의 이름 등을 상세히 전하며 "한국 정부는 해당 업체에 대한 현장 조사를 하고 문제 된 제품을 모두 수거 조치했다. 팔려나간 유럽 각 국가에 판매 및 유통 중단 통지가 된 상태"라고 후속 조치에 대한 내용까지 자세하게 전했다. 중국의 이러한 보도는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 등에서 상위에 올랐다.

특히,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의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같은 날 '농심의 유럽시장 타격으로 중국산 라면이 기회를 엿보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이번 사건으로 자국의 라면 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논조다.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글로벌타임스는 식품업계 분석가의 말을 인용해 "한국의 최고 인스턴트 라면 제조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식품안보 문제는 비록 그 영향이 반년 이상 지속되지는 않을지라도 중국의 인스턴트 식품 수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의 소셜미디어 시나 웨이보에서는 지난 14일부터 '농심 라면 카르시노겐'이라는 해시태그가 발견되기 시작했다는 내용을 전하면서 "농심의 이번 파문은 한국이 거대한 중국 시장에 라면을 수출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국내 내수용 라면의 경우, 식약처의 조사 결과, 문제의 제품들이 전량 수출돼 국내에선 유통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에틸렌옥사이드도 국내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국내에서 라면값 인상이 예고 된 바있는데, 농심은 16일부터 국내 라면 시장 1위 제품 '신라면' 등 라면 전 제품의 가격을 평균 6.8% 인상한다고 밝혔다. 인상 폭은 신라면 7.6%, 안성탕면 6.1%, 육개장사발면 4.4% 등이다. 농심의 라면값 인상은 2016년 12월 이후 4년 8개월 만에 오른다. 

 

 

 

 

 

지금 가격인상이라는 악재에 겹쳐, 발암물질 논란에 휩쌓였는데, 앞으로 국내의 라면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닭볶음면을 시작으로, 세계에서 우리나라 라면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고, 국내 라면기업의 매출에 영향을 주고있는데, 이번 사건이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가변동은 어떻게 될 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지 추이를 지켜봐야할 것 같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