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미진진한 세계사

공산주의 사상이 선진국에서 유행했던 이유 -1

728x90
반응형
SMALL

제1, 2차 세계대전이 폭풍처럼 지나가고 미국이 세계 경제 패권에 다가가려 할 때, 미국의 대항마

 

소련(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연방)이 나타났습니다.

 

당시 소련의 국기, 공산주의의 상징과 같은 표기이다.

 

현재 공산주의는 명맥을 잃어, 체제가 유지되는 국가는 거의 없다시피 하고, 과거의 유물인 양 여겨지지만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에는 전 세계를 휘몰아쳤던 폭풍같은 경제사상이었다.

 

당시, 자본주의의 부작용이라 불리는 '빈부 격차'가 뚜렷해지던 시기였는데,

 

19세기 독일에서 탄생한 공산주의 사상은 전 세계 지식인들에게 널리 퍼졌다.

 

당시의 서구 국가들은 아직 제대로 된 노동법과 규제가 없어 많은 노동자들이 낮은 임금을 받으며,

 

가혹한 노동과 인권 탄압을 당했는데

 

당시의 공산주의는 이런 자본주의의 모순을 단번에 해결할 사회 시스템으로 대두되었다.

 

공산주의는 빈부 격차도 불경기도 실업도 없이 모두가 한결같이 번영을 누릴 수 있다는 이상향처럼 여겨졌는데,

 

일본을 비롯한 당시의 많은 선진국 국가들 사이에서 유행했다.

 

바로 그 공산주의 운동이 국가의 형태로 파생되었는데,

 

제1차 세계대전 중, 러시아 혁명이 불러일으킨 혼란 속에서 공산주의자 무리가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했다.

 

세계를 뒤흔들었던 러시아혁명, 그때 당시의 사진이다.

 

그 무력으로 탄생한 공산당 독재체제의 국가 소련이었다.

 

건국 초기의 소련은 급격한 경제 발전을 이루어갔다.

 

공산주의라는 사회 체제는 피폐한 상태의 국가가 부흥하는 데는 상한 효력을 발휘했던 것 같다.

 

세계대전과 더불어 러시아 혁명으로 대혼란을 맞은 당시 소련은 공산주의 정권 지도하에

 

단기간에 국가 형태로 재건하는 데 성공하였다.

 

당시 소련의 군인들의 모습

 

1928년에는 경제 발전을 위한 5개년을 시행했는데, 이것이 바로 '제1차 5개년 계획'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담는다.

 

 

-귀족이나 부유층이 독점하고 있던 농지를 모두 국유화하고 국민에게 나누어 제공하며, 일부는 집단 농장으로 전환한다.

 

-중공업을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사람과 자원을 중점적으로 배분하여 발전을 도모한다.

 

 

그 결과 공업 생산고는 250퍼센트 증가했으며, 중공업은 330퍼센트, 농업 생산은 150퍼센트나 증가했다.

 

당시, 미국이나 일본 같은 대표적인 자본주의 국가들이 대공황으로 크게 혼란스러운 상황이었기에,

 

소련이 거둔 성공은 "공산주의는 불황이나 실업과는 무관하다"라는 마르크스의 예언이 실현된 것처럼 보이게 되었고,

 

전 세계의 많은 지식인들에게 커다란 희망을 안겨주었다.

 

 

 

 

 

2편에서 계속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